광주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서임석 시의원이 행정사무감사와 내년도 예산심의를 앞둔 시점에 “딸의 돌을 축복해달라”는 문자메시지를 공무원과 지인들에게 다량 발송해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2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해당 문자는 광주시청 소속 공무원들에게도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서 의원은 문자에서 “돌잔치는 하지 않지만 기도와 응원을 부탁드린다”는 문구와 함께 자녀의 사진을 보냈다. 그러나 직접적인 인연이 없는 공직자들까지 수신자 명단에 포함되면서, 일부에서는 “축하금을 보내야 하나”는 부담감을 느꼈다는 반응이 나왔다.
특히 시의원이 예산심의권을 가진 위치에서 공무원들에게 개인적 메시지를 보낸 행위 자체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 공직자는 “공정과 도덕성을 강조하는 정당의 소속 의원이라면 이런 오해를 살 만한 행동은 피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서 의원은 “순수한 축복을 바라는 마음으로 보냈을 뿐 금품을 기대한 적은 없다”며 “오해를 샀다면 공직자들에게 사과드린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공직사회에서는 “공직자에게 부담을 주는 사적 연락은 어떤 의도든 조심해야 한다”는 반응이 잇따랐다.
이번 논란은 최근 같은 당 최민희 의원의 자녀 결혼식에 피감기관이 화환을 보낸 사건에 이어, 지난 8월 육동한 춘천시장이 부고장에 조의금 계좌번호를 기재해 논란이 됐던 일, 그리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아들의 결혼식 청첩장에 축의금 계좌번호가 적혀 논란이 된 사례까지 잇따르면서, “공정과 도덕”을 내세워온 민주당 인사들의 ‘이중 잣대’에 대한 비판이 한층 거세지고 있다.
이 대표 아들 사례의 경우, 청첩장에 축의금 계좌가 포함된 사진이 온라인상에 퍼지며 정치권 안팎에서 공직자 가족의 품위 논란이 일었고, 당시 민주당 측은 “사적 행사에 대한 과도한 정치적 해석”이라며 선을 그었으나 국민 여론은 싸늘했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공직자와 정치인 사이의 경계가 무너질 때, 결국 국민이 정치 전체를 불신하게 된다”며 “이런 사례들이 반복될수록 민주당의 ‘공정’ 구호는 더 공허하게 들린다”고 말했다.
정치권 전반에서 내세우는 ‘공정’과 ‘도덕성’의 구호가 더 이상 설득력을 얻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말로는 정의와 평등을 외치지만, 실제 행동에서는 여전히 권력 의식과 특권적 행태가 반복되는 ‘내로남불 정치’가 이어지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번 일련의 사안들은 단순한 개인적 실수를 넘어, 공직자의 윤리감수성과 정치권의 도덕기준이 흔들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로 인식되고 있다.
이 같은 문제의식이 향후 정치권 전반의 ‘공정성’ 담론에 적잖은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